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James Story

DNS레코드 본문

공부/Linux & Server

DNS레코드

James Bae 2019. 3. 8. 04:04

DNS레코드 종류

 

A(Address) : 호스트 이름 하나에 IP 주소가 여러 개 있을 수 있고 IP 주소 하나에 호스트 이름이 여러 개 있을 수도 있다.

Ex) www A x.x.x.x => www.도메인명

Ex) ftp A x.x.x.x => ftp.도메인명

 

PTR(Pointer) : A레코드와 상반된 개념으로 PTR 레코드는 IP주소에 대해 도메인명을 맵핑하는 역할을 한다. (A레코드와 반대)

 

NS(Name Server) : DNS 서버를 가리키며, 각 도메인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있어야 한다.

 

MX(Mail Exchanger) : 도메인 이름으로 보낸 메일을 받는 호스트 목록으로 지정한다.

 

CNAME(Canonical Name) : 호스트의 다른 이름을 정의하는 데 사용한다.

 

SOA(Start of Authority) : 도메인에 대한 권한 상승이 있는 서버를 표시한다.

 

HINFO(Hardware Info) : 해당 호스트의 하드웨어 사양을 표시한다.

 

ANY : DNS레코드를 모두 표시한다.

 

TXT : DNS 노드에 첨부될 수 있는 임의의 텍스트 문자열로 구성된 것으로 여러 TXT 레코드를 포함 할 수 있다.

 

SPF(Sender Policy Framework) : 전자메일 스푸핑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레코드로 하나의 간단한 TXT 레코드에 메일을 보낼 위치의 모든 IP주소를 지정하고 지정한 아웃바운드 서버만 허용하도록 받는 서버에 지시할 수 있다.

 

Zone 파일 설정 값

Zone 파일 내에 @ origin 도메인을 의미하는 것으로 /etc/named.conf 파일에 설정되어 있는 도메인 명을 의미한다. ($ORIGIN example.co.kr), zone 데이터에 대한 도메인네임을 지칭한다. localhost. 을 의미한다.

'공부 > Linux & 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APM 소스설치 후기(CentOS6.9)  (0) 2020.12.02
SAMBA  (0) 2019.04.21
NIS 사용하기  (0) 2019.04.21
apache tomcat 연동  (0) 2019.03.28
vi 편집기 모음  (0) 2019.03.08